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교육적 관점에서 지체장애학생에 대한 궁금증 알아보기

1. 정의

특수교육대상자인 지체장애란 기능 형태상 장애를 가지고 있거나 몸을 지탱하거나 팔다리의 움직임 등에 어려움을 겪는 신체적 조건이나 상태로 인해 교육적 성취가 있는 사람

2. 원인

-뇌성마비 : 두뇌발달기 동안의 모든 뇌손상이 원인으로 출생 전, 출생 시, 출생 후의 뇌손상, 미성숙, 난산, 산소부족, 유아기 외상, 뇌막염 등으로 인한 고열이 주요 원인임

-진행성 근위축증(일명 근이양증) : 점차적으로 근육이 힘을 잃어가는 질병으로 신경계 이상에 의해 근육세포 자체가 지방질로 바뀌어 감에 따라 그 기능을 하지 못함

-경련장애(간질) : 간질(뇌전증)은 두뇌의 전기에너지가 비정상적으로 방출될 때 일어남. 뇌에 손상을 입으면 경련이 일어날 가능성이 높긴 하지만 그 원인이 밝혀지지 않는 경우가 많음

-이분 척추 : 출생 시 척추뼈 뒷부분이 완전히 닫히지 않은 채 태어나는 선천성 결함으로 대부분이 원인을 알 수 없음

-외상성 뇌손상 : 교통사고, 추락사고, 학대 등 머리에 큰 충격을 받아서 뇌손상을 가져오는 경우

3. 특성

지체장애는 특히나 유형과 정도가 너무 다양하여 인지능력이나 학업성취를 일반화하기 어려움. 신체적 능력에만 결함이 있는 지체장애학생들은 일반학생과 마찬가지로 인지능력이 다양함. 그러나 중복장애가 있는 경우에는 어려움이 더 많음. 장애로 인해 수술과 입원 등으로 학습동기가 저하되고 사회-정서적으로도 어려움을 보이는 경우가 있으므로 교사와 가족, 친구들의 도움이 필요함. 지체장애학생들은 근유의 협응이 어렵고 비정상적인 패턴을 보일 수 있는데 이는 휠체어, 목발, 교정기 등을 사용하여 어느 정도 경감시킬 수 있음.

3. 지도방법

지체장애학생들에 대한 교육은 학생의 장애정도와 유형에 따라 매우 달라짐. 지체장애학생들이 일반학급에 통합된 경우 가장 먼저 교사가 해야 할 일은 학생에 대한 여러 가지 필요한 정보를 알아내고 자세유지와 이동, 의사소통, 교육과정 적용 등에 대해 가장 적절한 교육환경을 마련해 주는 것임. 특히 지체장애학생은 장애로 인해 행동이나 의사표현이 느린 경우가 있지만 교사나 친구가 대신해 주는 것보다는 가능한 한 스스로 하도록 하고 시간이 오래 걸리더라도 기다려주는 것이 독립심 향상에 도움이 됨

 

교육적관점에서 지적장애학생에 대한 궁금증 알아보기

교육적관점에서 청각장애학생에 대한 궁금증 알아보기

 

교육적 관점에서 청각장애학생에 대한 궁금증 알아보기

1. 정의특수교육대상자인 청각장애는 청력손실이 심하여 보청기를 착용해도 청각을 통한 의사소통이 불가능 또는 곤란한 상태이거나 청력이 남아있어도 보청기를 착용해야 청각을 통한 의사소

sun-rising.tistory.com